본문 바로가기
경제.투자.정보.할인

폐의약품, 버리는 법만 알아도 환경을 지킬 수 있어요

by 선재선 2025. 5. 21.


🩺 유통기한 지난 폐의약품, 이렇게 버리세요!


— 쓰레기통 대신 우체통으로! 환경 지키는 작은 실천 —


❓ 폐의약품이란?


  ●  유통기한이 지난 약
    이미 다 사용했거나 변질된 약
    필요 없어져 더 이상 복용하지 않는 약

▒  일반 쓰레기처럼 버리면 토양과 수질 오염, 환경 호르몬 유출 등 심각한 환경 피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폐의약품, 어떻게 분리할까요?

종류 분리수거 방법
💊 알약  겉 포장 제거 → 내용물만 모아 밀봉
💥 캡슐약  캡슐에서 분말을 꺼내 밀봉
🧴 물약 한 병에 모아 뚜껑을 단단히 닫고 용기째 배출
🧂 가루약 포장 뜯지 않고 그대로 밀봉 배출
💧 안약 포장 그대로 밀봉 배출 (분리 X)
🧴 연고류 짜지 않고, 포장 상태 그대로 밀봉
🌬️ 흡입제, 스프레이 내용물 그대로 포장 상태로 배출

 



📮 폐의약품은 이렇게 배출하세요!


1. 밀봉하여 종이봉투 또는 비닐봉지에 담기

    → 폐의약품 안심봉투는 동 사무소, 행정복지센터에서 구함

2. 겉면에 ‘폐의약품’이라고 표기

3. 보건소, 약국, 읍면동 주민센터 수거함

4. 가까운 우체통 또는 우편 수거함에 투입

▒   🛑 약국, 보건소, 행정복지센터 내 폐의약품 수거함도 이용 가능
▒   🛑 폐의약품은 모두 소각 처리됩니다 (재활용 X)



🔍 우리 동네 우체통 찾기


👉 우정사업본부 ‘우체국 ·우체통 위치 찾기’ 서비스 바로 가기

  ●  ✔️ 우체통 체크
  ●  ✔️ 주소 입력
  ●  ✔️ 지도와 함께 쉽게 위치 확인 가능!

📮 우리 동네 우체국, 어디 있는지 궁금하셨죠?

우정사업본부의 위치 검색 서비스로 가장 가까운 우체국을 바로 확인하세요!

🗺️ 우체국 위치 찾기 서비스 바로가기


📌 알고 계셨나요?


  ●   폐의약품을 하수구나 쓰레기통에 버린다는 응답이 무려 55.2%
  ●   그냥 집에 보관만 한다는 사람도 36%

🧠 대부분이 올바른 배출 방법을 모르고 있다는 뜻입니다!



📬 폐의약품, 이제 우체통이 받습니다!


우체국과 함께하는 '폐의약품 회수 사업'
📍 세종·서울·나주 시범 운영 → 2024년부터 전국 확대
📍 일부 지자체는 드론 수거 시스템까지 도입!

📦 ‘약을 담았던 봉투가 약을 버리는 봉투가 된다’는 캐치프레이즈처럼
작은 습관이 환경을 지킵니다.



✅ 폐의약품 보관 시 참고사항

약 종류 보관 및 사용기한
💊 개봉 약 최대 1년 이내 사용
🧂 가루약 개봉 후 약 1개월 이내 
🧴 시럽약 개봉 후 1개월 이내
🧴 연고류 개봉 후 6개월 이내 (뚜껑 밀봉 필수)
📦 나눠쓴 약 개봉 후 1개월 내 사용(오염 우려)


  ▒  설명서/케이스는 절대 버리지 말고 꼭 확인!



🙌 마무리 

📮 폐의약품, 이젠 쓰레기통이 아니라 수거함, 우체통으로!
🌱 당신의 한 번의 실천이 환경을 지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