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투자.정보.할인

로그인 정보 유출 160억건…피해 막기 위한 보안 수칙 6가지

by 선재선 2025. 6. 24.

🔐 160억 건 로그인 정보 유출… 다크웹까지 번진 계정 보안 위협

최근 구글, 애플, 페이스북은 물론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 등 글로벌 플랫폼 사용자들의 로그인 정보가 대규모로 유출되며 보안 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로그인 정보 유출은 단순한 해킹 사고가 아니라, 수년에 걸친 악성코드와 피싱 공격의 누적 결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이번 사건은 역대 최대 규모의 보안 사고로 기록될 수 있으며, 그 파장은 상당합니다.

 

🌍 160억건 정보 유출… 전 세계 인구의 2배

사이버 보안 전문 매체인 사이버뉴스는 최근 다크웹에서 30개의 데이터셋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데이터셋에는 총 160억 건에 달하는 로그인 정보 유출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구글과 애플, 메타(페이스북)는 물론, OTT 서비스 계정 정보까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숫자는 전 세계 인구의 두 배에 해당하는 규모로, 한 사람당 여러 개의 계정이 유출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특히 이 정보들은 한 번의 대규모 해킹이 아닌, 다양한 공격 경로를 통해 오랜 시간에 걸쳐 수집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 유출 원인은 ‘사용자 기기 감염’

놀라운 점은 기업 서버가 아닌 사용자 기기에서 정보가 유출됐다는 사실입니다. 악성코드, 피싱 사이트 접속, 비공식 앱 설치 등 사용자 측의 보안 부주의가 주된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이로 인해 단순한 이메일·비밀번호뿐만 아니라 쿠키, 카드 정보, 심지어 금융 서비스 정보까지 탈취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OTT 서비스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특히 넷플릭스는 563만건이 유출되며 가장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한국은 세계에서 7번째로 많은 피해를 입은 국가로 조사되었습니다.


⚠️ 보안 전문가의 경고와 대처법

보안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을 “사이버 범죄의 연료가 될 초대형 유출”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로그인 정보 유출은 단순한 계정 침해로 끝나지 않고, 신원 도용·표적형 피싱·랜섬웨어 공격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대처법을 권고합니다:

  • 🔁 모든 계정의 비밀번호 즉시 변경
  • 🔑 사이트마다 다른 비밀번호 사용
  • 📲 멀티팩터 인증(MFA) 설정
  • 🧬 패스키(Passkey) 등 생체 인증 활용
  • 📵 공식 앱스토어 외 앱 설치 금지
  • 🕵️ 의심스러운 로그인 기록 정기 점검

또한 웹사이트 주소가 조금이라도 이상하면 피싱을 의심하고, 공식 유료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사이버 범죄의 연결고리를 끊는 첫걸음

이번 로그인 정보 유출 사건은 보안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주고 있습니다. 단 한 번의 부주의가 돌이킬 수 없는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지금 이 순간 계정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보안 습관은 작고 단순해 보일 수 있지만, 결국 사이버 공격을 막는 가장 강력한 방패가 됩니다. 한 번의 비밀번호 변경과 MFA 설정이 소중한 개인정보를 지킬 수 있는 첫걸음입니다.


✅ 결론

로그인 정보 유출은 단순한 데이터 침해 사건이 아닙니다. 이는 사용자 개개인의 경각심과 보안 습관에 따라 피해가 커질 수도, 막을 수도 있는 문제입니다. 지금 이 순간, 본인의 모든 계정 보안 상태를 다시 점검하고, 안전한 인터넷 생활을 위한 습관을 갖추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