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 살 날도 많은데…"
기대수명은 늘고, 소비는 줄었다?
5060 세대 은퇴 후 걱정인 이유
한국인의 기대수명이 늘어나고 있지만, 소비성향은 오히려 낮아지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20년 전보다 오래 살게 됐지만, 은퇴 후 소득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지출은 줄이고 저축은 늘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수명과 소비, 어떻게 달라졌나?
구분 | 2004년 | 2024년 | 변화폭 |
기대수명 | 77.8세 | 84.3세 | +6.5세 |
평균 소비성향 | 52.1% | 48.5% | -3.6%P |
- 수명 1년 증가 → 소비성향 0.48% 하락
- 즉, 6.5세 증가 → 약 3.1% P 소비 감소
🔍 왜 이런 변화가 생겼을까?
- 정년은 그대로인데 여생은 길어짐
- 은퇴 이후 소득 불안정 → 노후 대비 위해 소비 줄임
- 특히 5060 세대가 소비성향 하락에 가장 큰 영향
📉 이 추세, 앞으로도 계속될까?
- 2030년대 중반까지는 소비성향 하락 지속 예상
- 이후 초고령층(75세 이상) 증가로 반등 가능성
💡 KDI(한국개발연구원)가 제시한 대응 방안
1. 연공서열 중심 임금 → 직무·성과 중심으로 개편
📌 여기서 잠깐! 연공서열 중심 임금에 대하여
지금은 ‘오래 다닌 사람’보다 ‘잘하는 사람’이 더 인정받는 구조로!
우리나라 대부분의 직장에서는 지금까지 “얼마나 오래 다녔는지”가 연봉이나 직급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어요.
이런 걸 연공서열 중심의 임금 체계라고 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시대가 바뀌고 있어요.
앞으로는 “일을 얼마나 잘하느냐”, “성과가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급여를 정하는,
즉 직무와 성과 중심의 체계로 바꾸자는 의견이 커지고 있어요.
이런 변화가 필요한 이유는?
✔ 오래 일한 사람뿐 아니라
✔ 능력 있는 고령자,
✔ 퇴직 후에도 일하고 싶은 사람들이
더 오래,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예요!
2. 정년 이후 재고용 제도 확대
3. 고령층 친화형 노동시장 구조 마련
📌 단순히 소비 줄었다고 보기보다, 우리 사회의 노동시장 구조와 연금 시스템의 현실을 반영한 결과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마무리하며…
"이제는 100세 시대!"라는 말은 더 이상 낯설지 않죠.
하지만 길어진 수명만큼, 은퇴 이후의 삶을 위한 시스템 개선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5060 세대의 지갑이 다시 열릴 수 있도록, 우리 사회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경제.투자.정보.할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험은 손해라는 오해? 재테크 고수들이 보험을 활용하는 이유 (0) | 2025.04.24 |
---|---|
한 달 적금이 대세! 금리 최고 7% 초단기 재테크 상품 (0) | 2025.04.24 |
주유도 스마트하게! MY S-OIL 앱으로 간편 결제 + 쿠폰까지 (0) | 2025.04.24 |
회 먹고 병원 갈 수도? 비브리오패혈증균, 올해 첫 발견! (0) | 2025.04.23 |
SK텔레콤 유심 유출 사태로 본 '유심 PIN 설정'의 중요성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