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투자.정보.할인

수명은 늘고, 소비는 줄고… 은퇴 후가 걱정인 세대들

by 선재선 2025. 4. 24.

🧓 "앞으로 살 날도 많은데…" 

 
기대수명은 늘고, 소비는 줄었다?  

5060 세대 은퇴 후 걱정인 이유


한국인의 기대수명이 늘어나고 있지만, 소비성향은 오히려 낮아지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20년 전보다 오래 살게 됐지만, 은퇴 후 소득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지출은 줄이고 저축은 늘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수명과 소비, 어떻게 달라졌나?

구분 2004년 2024년 변화폭
기대수명 77.8세 84.3세  +6.5세
평균 소비성향 52.1%  48.5% -3.6%P


- 수명 1년 증가 → 소비성향 0.48% 하락  
- 즉, 6.5세 증가 → 약 3.1% P 소비 감소



🔍 왜 이런 변화가 생겼을까?


정년은 그대로인데 여생은 길어짐  
- 은퇴 이후 소득 불안정 → 노후 대비 위해 소비 줄임 
- 특히 5060 세대가 소비성향 하락에 가장 큰 영향 



 📉 이 추세, 앞으로도 계속될까?


- 2030년대 중반까지는 소비성향 하락 지속 예상  
- 이후 초고령층(75세 이상) 증가로 반등 가능성



💡 KDI(한국개발연구원)가 제시한 대응 방안


1. 연공서열 중심 임금 → 직무·성과 중심으로 개편
    📌 여기서 잠깐! 연공서열 중심 임금에 대하여
         지금은 ‘오래 다닌 사람’보다 ‘잘하는 사람’이 더 인정받는 구조로!
         우리나라 대부분의 직장에서는 지금까지 “얼마나 오래 다녔는지”가 연봉이나 직급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어요.
         이런 걸 연공서열 중심의 임금 체계라고 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시대가 바뀌고 있어요.

         앞으로는 “일을 얼마나 잘하느냐”, “성과가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급여를 정하는,
         즉 직무와 성과 중심의 체계로 바꾸자는 의견이 커지고 있어요.

        이런 변화가 필요한 이유는?

       ✔ 오래 일한 사람뿐 아니라
       ✔ 능력 있는 고령자,
       ✔ 퇴직 후에도 일하고 싶은 사람들
       더 오래,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예요! 
 
2. 정년 이후 재고용 제도 확대  
3. 고령층 친화형 노동시장 구조 마련  

📌 단순히 소비 줄었다고 보기보다, 우리 사회의 노동시장 구조와 연금 시스템의 현실을 반영한 결과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마무리하며…


"이제는 100세 시대!"라는 말은 더 이상 낯설지 않죠.  
하지만 길어진 수명만큼, 은퇴 이후의 삶을 위한 시스템 개선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5060 세대의 지갑이 다시 열릴 수 있도록, 우리 사회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